「제주 스테이 비우다」의 부지는 중문 관광단지 북쪽‘중산간서로’부근에 위치한다. 부지는 해발 148미터지역으로 평균경사가 약 12%인 비교적 완만한 자연경사지이며 남서쪽으로 가파도와 마라도가 보이는 울창한 귤나무 숲으로 구성 되어있다. 대지는 물론 주변에도 나무가 많으며 밭과 밭 사이의 돌담들이 제주특유의 풍경을 만들어내고 있다.
이곳 「제주 스테이 비우다」는 이러한 풍경 속에 자리 잡은 전원의 머무름 공간으로 바쁜 도시생활에 찌든 현대인들에게 잠시 도시를 잊고 떠나와 힘겨운 몸과 마음을 치유하기 위한 공간 제공을 목적으로 계획되었다. 건축주와의 대화를 통하여 건축에 대한 많은 공감대가 형성되었고 그 대화 내용을 바탕으로 건축계획의 방향을 잡아나갔다.
제일 먼저 생각해야 했던 것은 가급적이면 부지가 가지고 있는 제주 특유의 자연스런 전원분위기를 그대로 살려 인공적인 냄새를 가급적 갖지 않게 하는 것과 이곳에 머무는 이들에게 각자가 다른 사람의 방해를 받지 않고 자기만의 독특한 환경 속에서 자유로운 일탈을 꿈꿀 수 있는 개성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는 일이었다.
「제주 스테이 비우다」의 설계모티브를 생각하던 중 제주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돌담과 귤 창고-이것을 눈 여겨 보게 되었다. 제주도를 삼다도(三多島)라 할 첫 번째 요소인 바람, 이 바람을 견뎌내기 위해 구멍이 숭숭 뚫리도록 엉성하게 쌓은 돌담에서 비움의 지혜와 겸양의 미덕을, 그리고 제주도 귤 농장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귤 창고에서 집으로서의 간결한 건축미를 보았다. 이 두 개의 이미지를 모아 결합하자는 생각이다. 귤 창고를 돌담 쌓듯 엉성하게 쌓아 생긴 숭숭 뚫린 구멍이 제주도 바람의 흐름을 유연하게 해 줌은 물론 자연과의 공간적 소통의 여유와 다양한 외부공간의 존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여기에 쌓여질 귤 창고는 될 수 있으면 간결해야 한다.
그리하여 이렇게 숭숭 생긴 공간들은 정형의 호모토피아(homotopia)적 공간이 아니라 비정형의 헤테로토피아(heterotopia)적 공간으로 여기에 머무는 이들에게 편한 마음으로 산책하고 자연과 대화하며 쉴 수 있는 생태적 환경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였으며 개개인의 머무름 공간도 각기 다른 조건에 맞게 다르게 구성됨으로서 각자가 실내와 외부공간에서 각기 다른 경험을 할 수 있도록 개성 있는 공간으로 구성되어야 한다는 생각이었다. 그 공간들의 다름은 인위적 다름이 아니라 무위적 다름의 공간이다. 개개의 실의 공간 환경이 요구하는 대로 욕실에서부터 침실까지 다른 조건이 그대로 반영되어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다음과 같이 설계를 진행하였다.
첫째로 차를 마시고 자연의 풍경과 소리와 내음을 감상하며 쉴 수 있도록 전면이 펑 뚫린 카페, 둘째로 다양한 방향에 따라 너른 초록빛 귤밭 풍경의 근경과 멀리 펼쳐진 바다의 원경을 동시에 감상할 수 있도록 마련된 다양한 위치 다양한 형태의 마당들- 이 공간들은 어프로치 중심공간으로부터 연결되며 개개의 침실 공간 가까이에 있게 된다.-그리고 마당에서부터 개개의 실로 연결된 각각의 계단과 현관 데크, 셋째로 마음을 치유할 수 있는 침착하고 안정된 한국적 분위기와 각기 다른 고유한 전망을 갖는 개인 공간, 넷째로 자연조건에 따라 수목을 감상하거나 별빛을 바라보며 목욕을 즐길 수 있도록 다르게 준비된 욕실, 다섯째로 환경조건에 따라 각기 다른 방법으로 자연에 노출되어있는 개개인의 테라스 또는 발코니들, 여섯째 숨 막히는 적막 속으로쏟아지는 별과의 대화세계로 들어갈 수 있는 다락침실 등이 그것이다.
이렇게 계획된 공간들은 각기 다른 전망과 개성 있는 외부공간을 가지며 빛을 중시한 디자인으로 구사되고 실현되어 이곳을 찾는 이에게 마음의 편안함과 쾌적함을 동시에 느끼게 해주고 심신의 치유에 보탬이 될 것으로 믿는다.
방 철린
방철린/건축그룹칸종합건축사사무소(주)/Architect Group CAAN/Bang Chulrin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세계인구의 축소방안으로 덜 낫는 것을 국가적으로 권장되던 때도 있었는데, 21세기 들어서서 정보산업사회가 가속화되면서 자녀 두기를 꺼리는 부부가 늘어나는가 하면 가족도 귀찮다며 결혼도 마다하는 가치관의 변화로 이어지고, 독신으로 인생을 값어치있게 즐기며 살겠다는 부류가 자연스럽게 늘어나고 유행처럼 번져가고 있다.
이렇게 인간의 심성이 급변하고 있는 현대정보산업사회 속에 오늘날의 주거가 감당해야 할 가장 큰 역할은 무엇인가? 주거의 여러 가지 역할이 있겠지만 무엇보다도 가족을 결집시키고 서로 느끼고 아끼게 만드는 것이 가장 중요한 역할이라면, 부모세대와 자녀세대의 생활패턴이 다르고, 관심사가 다르고, 활동 싸이클이 다른 시대적 괴리 속에 무슨 사고를 근간으로 이러한 역할을 만족시키는 주거건축을 만들어 낼 수 있느냐가 중요한 사안이라 아니할 수 없다.
연하당(煙霞堂)에서는 이런 문제를 해소시켜주는 요소로 이 집의 중앙부분의 마당과 층을 연결하는 계단을 등장시켰다. 마당은 실내 어느 곳에서든 접근이 가능하도록하여 다양한 쓰임새를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 가족들은 마당을 둘러싸고 있는 투명한 유리창을 통하여 반대편에 있는 가족을 서로 인식할 수 있다. 계단의 시작점을 거실의 입구이면서 부모실의 출입구 바로 전면에 위치시킴으로써 부모와 자녀간의 만남을 자주 발생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각 실들의 독립적 이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실의 외각부에는 적절한 크기의 외부공간을 두었고, 다양한 행위가 다양한 위치에서 일어날 수 있도록 공간을 구성하여 가족 각자의 활동성도 높여주었으며, 2층 전면 부분은 퍼골라를 설치하여 이 집의 전망을 만끽할 수 있는 루의 역할을 담당토록 하였다. 3층에는 긴 스튜디오를 두어 집안에서 요구될 수 있는 다양한 쓰임새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 집의 뒤쪽 길에서 볼 때 이 집으로 인한 시각적 차단감을 해소하기 위해 이 부분의 전후면을 투명하게 처리하였다.
이 집의 당호(堂號)는 조선중기 석학 퇴계(退溪)선생의 시 구절에서 여러 차례 등장하는 연하(煙霞)라는 단어를 그대로 사용하였다. 이 단어는 '안개가 끼어서 뿌연 풍경', '안개와 이내' 뜻으로 한국의 회화적인 분위기를 물씬 풍기는 은근한 의미를 갖고 있어, 이 주택이 갖고 있는 장소적 이미지와 경관, 그리고 공간적 분위기와 잘 어울린다고 보았다.
여기에 퇴계선생이 자신이 태어난 경북 안동군 예안면 낙동강 상류의 아름다운 풍경을 노래한 시 한수를 소개한다.
안녕하세요 경북대학교 건축과 4학년 남영근이라고 합니다.
주택 설계 과제로 Case study를 방철린 선생님의 '연하당'으로 했습니다.
모형 제작을 위해 도면을 구하고 있는데, 인터넷에서는 찾기가 어려워
이곳에 글을 남깁니다. 실례가 되지 않는다면 도면파일을 좀 받을 수 있을런지요?
제 이메일은 visionist@knu.ac.kr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대구대학교에서 건축공학을 배우고 있는 1학년 이종호라고합니다
이번 주택 설계를 방철린 선생님의 '연하당'으로 하고싶어서 이렇게 글을 남깁니다.
모형 제작을 위해 도면을 구하고 있는데, 인터넷에서는 찾기가 어려워서요
혹시 실례가 되지 않는다면 도면파일을 좀 받을 수 있을까요?
제 메일은 jongho3345@naver.com입니다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호서전문대에서 건축과 인테리어를 배우고 있는 2학년 김형섭이라고 합니다.
이번 주택 설계를 방철린 선생님의 '연하당'으로 하고싶어서 이렇게 글을 남깁니다.
모형 제작을 위해 도면을 구하고있는데 인터넷으로 찾기가 어려워서요
혹시 실례가 되지 않는다면 도면(캐드파일)좀 받을수있을까요? 부탁드리겠습니다.
제메일은 yh98huw@naver.com입니다. 부탁드리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건축학과를 전공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이번년에 주택 설계를 하게 되었는데 방철린 선생님의 '연하당'을 배우고 싶어 글을 남깁니다. 모형을 제작하기에 도면을 구하고 있는데 인터넷과 책으로는 정보가 부족하여 혹시 실례가 되지 않는다면 도면 캐드파일을 받을 수 있을까요? 제 메일은 j082900@naver.com (j만 영어입니다) 입니다. 도면을 토대로 모형을 제작하여 더욱 자세히 공부하고 싶습니다. 부탁드리겠습니다.
안녕하십니까 건축 전공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이번 구조 과제로 주택 분석을 하게되어 방철린 선생님의 연하당을 선택하였습니다.
실례가 되지 않으면 캐드 파일을 받을 수 있을까요? 부탁드리겠습니다
sk2tm@naver.com 입니다. 부탁드리겠습니다
메일주소 남기오니 꼭 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건축 전공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이번 구조 설계 과제에서 주택 분석으로 방철린 선생님의 연하당을 선택하였습니다.
실례가 되지 않는다면 캐드 파일을 받아볼수 있을까 하여 문의 드립니다.
메일주소 남기오니 꼭 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sk2tm@naver.com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실내 디자인에 대해 공부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학교에서 ‘주택설계’ 라는 수업에서 도면을 보고 직접 모형을 만드는 과제를 하게 됐습니다. 선생님의 연하당을 작품을 모형으로 만들어보고 공부하고 싶은 마음을 가지고 댓글을 남기게 됐습니다. 실례지만 혹시 도움을 주실 수 있다면 평면도와 입면도 도면파일을 메일로 보내주실 수 있으신가요? 메일주소 남깁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ten9392@naver.com
펜션하우스를 해보겠다는 건축주가 나에게 찾아 온 것은 집을 지어 주겠다는 다른 사람을 이미 만나 본 후의 일이었다. 그 사람과 집의 이야기를 한참 나누다가 설계 과정도 없이 이들과 먼저 이야기하는 것이 과정상 잘못 되었음을 뒤늦게 인식하고 친구의 소개로 사무실을 찾아온 것이었다. 건축주는 나름대로의 정보에 의해 이 집에 대해 적절하다고 믿고있는 프로그램을 갖고 있어 그 내용을 나에게 모두 털어놓았다. 그리고 설계에 필요한 기본적인 프로그램 외의 집에 대한 모든 디자인은 나에게 맡기겠노라고 하였다.
주변 자연경관이 조용하고 한적한 전원에 확보된 800여평의 부지와 60평정도 규모의 집에 부부가 살집과 손님이 묵으며 편히 쉬게 할 수 있는 4개의 객실을 갖게 하는 것 - 이 것이 필요한 프로그램의 개략이었다.
이 곳 태봉리를 처음 찾았을 때 부지는 작은 마을의 어귀에 위치하고 있고 동네 분위기와 주변의 자연의 구성으로 볼 때 이 곳에 짓는 집은 거대해 보이는 한 개의 덩어리로서의 건축이기보다 작은 여러 개의 조각으로 만들어진 구성적 집이 더 동네와 자연에 친화적이며 동네와 이 집에 편안함을 주게 될 것이라 여겼다.
다음으로 생각한 것은 이 집의 이용자였다. 이 집- 「산빛마당」은 이용 면에 있어서 두 가지의 다른 성격의 사용자를 갖게 되는데 이 곳에서 항상 먹고 자며 생활을 하여 이 곳을 삶의 터전으로 생각 해야하는 건축주 부부와 이 곳에서 휴식을 취하고 재창조의 기회로 삼을 수 있는 기반으로서의 장소로 생각하는 객(客) - 이 둘 사이의 이 집에 대한 생각은 다른 시각으로 볼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늘 생활해야 하는 이용자(건축주)와 일시적 방문객 사이에는 장소와 공간을 보는 눈과 느껴지는 감정 그리고 눈앞에 펼쳐지는 풍경에 대한 감흥 등에서 서로 그 느낌이 다를 수밖에 없으며 장소의 쓰임새 또한 같지 않음이 당연한 일이라 생각하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념들을 안은 채 이 집의 계획이 진행되었다. 우선 영역을 구분하는 일에서부터 계획이 시작되었다. 외부의 진입도로영역과 부지간의 구분, 객의 영역과 주인의 영역간의 구분, 그리고 객간의 영역상호구분이 그 것이다. 영역의 구분으로 구성된 이들은 분리개념이 아닌 상호의 연관을 더 중시하고 더 관심을 갖게 하는 채의 개념을 가지게 되며 자연스레 그 사이에 각각 고유의 성격을 가질 수 있는 장으로서의 마당의 개념을 갖는다. 그리하여 생긴 공간들에는 이용하는 그룹의 성격에 맞게 특성을 부여된다. 건축주의 공간은 좀더 차분하고 안정됨이 강조되는 반면 객들이 묵는 영역의 공간들은 좀더 다이나믹하고 짧은 시간에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나뉘어진 영역과 공간구성은 앞에서 이야기한 것 같은 도시 와 자연을 생각하는 이 집의 도시에 대한 걸 맞는 태도를 갖게 만든다고 믿는다.
사방으로 전개되어 펼쳐진 주변 경치는 독특한 경관을 가지고있다. 그래서 실의 위치와 방향에 따라 실들의 창문 방향을 선택적으로 정하여 배치하였다. 따라서 이 집의 창 밖으로 펼쳐지는 경관은 위치에 따라 모두 다르므로 실마다 고유한 분위기를 창출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갖는다.
건축주는 이 집의 이름을 지어 줄 것을 나에게 부탁하였다. 건축주와의 대화속에서 건축주는 서예를 매우 즐겨하는 것을 알게 되었고 건축주의 두인(頭印)이 「산빛」임을 알게되었다. 이 곳이 산빛 가득한 전원임에 틀림없는 곳인데다 객들이 모일 수 있는 마당을 계획하고 있어 「산빛마당」이 어떻겠냐는 의견이 제시되었으며 이에 건축주와 의견의 일치를 보게되었다.
늘 선물을 사들고 사무실을 찾아오곤 하는 건축주는 직접 지은 시와 단풍잎이 담긴 테이블받침을 나에게 선물하였다. 이런 정성어린 손길 때문인지 공사는 순조롭게 잘 진행되고 있다. 이런 정성으로 이 집이 지어지고 가꾸어진다면 분명 이 집은 잊혀지지 않을 좋은 집으로 남게 될 것이다.
이 집의 부지는 강화도 민통선 검문소를 지나 양오리란 작은 마을에 있다. 풍수지리로 볼 때 이 부지는 명당자리여서 부지에 서 있노라면 심리적 안정감을 갖게 한다. 이 곳에 거주할 건축주인 김교수 부부의 마음가짐과 정신은 전원생활을 할 덕목을 갖추고 있었다. 채소, 화초, 나무를 좋아하고 마을의 일원이 되려는 노력이 역력하며 이 부근 선배교수와도 친분이 두터워 나로 하여금 그렇게 믿도록 하였다. 새로 지어질 집의 개념들을 생각해 보았다. 가정 중심공간구축, 땅이 갖고 있는 에너지가 전제된 공간배치, 실내공간과 외부공간과의 필연적 관계형성, 「채」개념의 현대적 적응 - 이러한 내용들이 이 집을 설계하면서 생각한 개념의 틀이다. 이 곳 양오리의 주택은 한국적 공간구성의 필연적 원리들을 중시하는 계획으로 구성하였다. 중심부에 마당을 놓고 주변의 켜에 건축주가 이야기하는 프로그램을 실로 배치하고 실들의 바깥켜에 대한 땅과 실내공간의 긴밀한 관계를 갖도록 구성하였다. 건축주의 마음가짐을 볼 때, 이 곳에 누(樓)를 설치하는 것이 필연적 요소로 생각하였다. 또한 안방과 누를 1개의 축선상에 배치하는 방법도 시도하였다. 안방의 위치를 예전과 같이 폐쇄적인 위치에서 벗어나 오히려 집의 중심적 축선상에 위치시켜 이 방의 주인이 곧 이 집의 주인임을 암시케 함은 물론 누를 통한 전면의 경치를 확보하기 위해서다. 건축의 내외부공간 만들기는 나의 의지에 의한다기보다 무위(無爲)의 개념으로 사람·자연·건축의 관계를 충실하게 맺어주는 것이 이상적인 방법이라 생각한다. 그래야만 건축이 저절로 그렇게 된 것 같은 자연스러움과 원래 거기 있었던 것 같은 조화로움, 그리고 해학이 가득한 지혜로움을 간직할 수 있다고 믿는다. 이 집에 있는 누의 이름을 미제루(未濟樓)라 하였다. 이는 64괘 이름에서 따왔다. 마지막 괘 이름인 「미제」, 그 바로 앞 괘인 63번째가 기제(旣濟)임에 반하여 이 세상의 삼라만상은 늘 바뀌고 순환하는 속성을 가지고 있음을 뜻하는 것이다. 이 곳에서 닦아지는 김교수의 학문과 다져지는 우정도 이 누의 이름이 의미하듯 늘 닦여져서 깊어지고 새로워질 수 있길 기대한다.
1999韓國建築家協會作品賞受賞 / Win the 1999 Architectural Prize of KIA
하늘마당 Ⅱ 설계소묘
하늘마당Ⅱ는 갑자기 찾아온 건축주에 의해 설계의뢰 되었다. 오래전부터 나의 작품에 관심을 가지고 지켜봐 왔다는 건축주는 나의 사무실로 찾아와서 자신의 가족이 함께 단란하게 살 주택과 임대를 위한 다가구주택이 건축물의 용도라는 것, 거실옆에 서재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 그리고 이것 이외의 모든설계는 나에게 맡기겠노라는 것 등을 주문하였다.
강남의 주거지역이 모두 그러하듯 이곳 잠실도 개발당시 지어졌던 주택들이 헐려나가고 개발후 제2기 건축이라할 다가구주택들이 들어서고 있는 지역인지라 대지 주변상황도 이와 조금도 다를바가 없었다. 건축주의 수지균형을 생각한 연면적과 강화된 주차장 법을 전제로 계획을 하자니까 공간의 여유를 조금도 찾을 수가 없어 결국 이곳에 사는 사람들의 커뮤니케이션은 복도와 계단에서 일어나는 것 이외에 다른 기대는 어렵다고 결론을 내렸다.
계단과 복도는 외기에 노출되도록 반외부공간으로 계획하여 한치의 여유도 없는 외부공간의 역할을 이곳이 담당토록 하였으며 이 계단과 복도가 주차장 측으로 열리도록 하여 건물군속의 폐쇄감을 다소나마 해소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계단과 복도는 층별로 변화있게 계획하여 마을의 골목길 같은 역할을 담당하게 함은 물론 식별성과 공간적 다양성을 제공 시킬것으로 기대한다. 선큰테라스는 지하층 세대에게 항상 빛과 바람이 들어오도록 도와줄 것이며 3층 원기둥이 있는 하늘마당은 계절을 느낄 수 있어서 거주하는 주인에게 정서와 여유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옥탑에 얻어지는 자유공간에는 마루를 깔아 평상같은 분위기를 만들었으며 이곳은 옥외공간이 모자라는 도시속에서 가족들이 다양한 행위의 가능성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달빛 쏟아지는 여름밤, 평상에 앉아 시원한 밤바람을 맞으며 사색에 잠길 수도 있지 않을까? 방철린 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