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스테이 비우다」의 부지는 중문 관광단지 북쪽‘중산간서로’부근에 위치한다. 부지는 해발 148미터지역으로 평균경사가 약 12%인 비교적 완만한 자연경사지이며 남서쪽으로 가파도와 마라도가 보이는 울창한 귤나무 숲으로 구성 되어있다. 대지는 물론 주변에도 나무가 많으며 밭과 밭 사이의 돌담들이 제주특유의 풍경을 만들어내고 있다.
이곳 「제주 스테이 비우다」는 이러한 풍경 속에 자리 잡은 전원의 머무름 공간으로 바쁜 도시생활에 찌든 현대인들에게 잠시 도시를 잊고 떠나와 힘겨운 몸과 마음을 치유하기 위한 공간 제공을 목적으로 계획되었다. 건축주와의 대화를 통하여 건축에 대한 많은 공감대가 형성되었고 그 대화 내용을 바탕으로 건축계획의 방향을 잡아나갔다.
제일 먼저 생각해야 했던 것은 가급적이면 부지가 가지고 있는 제주 특유의 자연스런 전원분위기를 그대로 살려 인공적인 냄새를 가급적 갖지 않게 하는 것과 이곳에 머무는 이들에게 각자가 다른 사람의 방해를 받지 않고 자기만의 독특한 환경 속에서 자유로운 일탈을 꿈꿀 수 있는 개성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는 일이었다.
「제주 스테이 비우다」의 설계모티브를 생각하던 중 제주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돌담과 귤 창고-이것을 눈 여겨 보게 되었다. 제주도를 삼다도(三多島)라 할 첫 번째 요소인 바람, 이 바람을 견뎌내기 위해 구멍이 숭숭 뚫리도록 엉성하게 쌓은 돌담에서 비움의 지혜와 겸양의 미덕을, 그리고 제주도 귤 농장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귤 창고에서 집으로서의 간결한 건축미를 보았다. 이 두 개의 이미지를 모아 결합하자는 생각이다. 귤 창고를 돌담 쌓듯 엉성하게 쌓아 생긴 숭숭 뚫린 구멍이 제주도 바람의 흐름을 유연하게 해 줌은 물론 자연과의 공간적 소통의 여유와 다양한 외부공간의 존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여기에 쌓여질 귤 창고는 될 수 있으면 간결해야 한다.
그리하여 이렇게 숭숭 생긴 공간들은 정형의 호모토피아(homotopia)적 공간이 아니라 비정형의 헤테로토피아(heterotopia)적 공간으로 여기에 머무는 이들에게 편한 마음으로 산책하고 자연과 대화하며 쉴 수 있는 생태적 환경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였으며 개개인의 머무름 공간도 각기 다른 조건에 맞게 다르게 구성됨으로서 각자가 실내와 외부공간에서 각기 다른 경험을 할 수 있도록 개성 있는 공간으로 구성되어야 한다는 생각이었다. 그 공간들의 다름은 인위적 다름이 아니라 무위적 다름의 공간이다. 개개의 실의 공간 환경이 요구하는 대로 욕실에서부터 침실까지 다른 조건이 그대로 반영되어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다음과 같이 설계를 진행하였다.
첫째로 차를 마시고 자연의 풍경과 소리와 내음을 감상하며 쉴 수 있도록 전면이 펑 뚫린 카페, 둘째로 다양한 방향에 따라 너른 초록빛 귤밭 풍경의 근경과 멀리 펼쳐진 바다의 원경을 동시에 감상할 수 있도록 마련된 다양한 위치 다양한 형태의 마당들- 이 공간들은 어프로치 중심공간으로부터 연결되며 개개의 침실 공간 가까이에 있게 된다.-그리고 마당에서부터 개개의 실로 연결된 각각의 계단과 현관 데크, 셋째로 마음을 치유할 수 있는 침착하고 안정된 한국적 분위기와 각기 다른 고유한 전망을 갖는 개인 공간, 넷째로 자연조건에 따라 수목을 감상하거나 별빛을 바라보며 목욕을 즐길 수 있도록 다르게 준비된 욕실, 다섯째로 환경조건에 따라 각기 다른 방법으로 자연에 노출되어있는 개개인의 테라스 또는 발코니들, 여섯째 숨 막히는 적막 속으로쏟아지는 별과의 대화세계로 들어갈 수 있는 다락침실 등이 그것이다.
이렇게 계획된 공간들은 각기 다른 전망과 개성 있는 외부공간을 가지며 빛을 중시한 디자인으로 구사되고 실현되어 이곳을 찾는 이에게 마음의 편안함과 쾌적함을 동시에 느끼게 해주고 심신의 치유에 보탬이 될 것으로 믿는다.
방 철린
방철린/건축그룹칸종합건축사사무소(주)/Architect Group CAAN/Bang Chulrin
탄탄스토리하우스는 파주출판도시와 심학산 경계에서 어린이들을 맞이하고 있다. 6섹터에 위치한 대지는 심학산을 향해 시선이 트여있고 출판도시의 주 진입도로를 향해서도 열려있으며 거젤 유형으로 비교적 형태가 자유로울 수 있다. 매스의 단순함은 도시의 흐름에 순응하고 있지만 섬세한 각도로 틀어진 결합은 이 곳을 특별하게 만들어준다. 1,2층의 공연장과 3, 4층의 전시장에서 어린이들은 한국가드너에서 출판한 여러 동화책들의 삽화를 보고 들으며 주인공과 만날 수 있다. 초고속 인터넷과 게임에 노출된 현대사회의 어린이들은 서로를 스쳐 지나가고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다. 그러나 이 곳에 온 어린이들은 '서로를 만나고' '서로와 교류하며' '누군가의 이야기를 들어주는' 새로운 경험으로 그들의 감수성을 발견할 수 있다. 느리고 길게 걷고, 무언가 불확실한 공간을 느끼고, 관통하는 시선으로 경관을 즐기며, 예상치 못한 공간의 조화를 통해 급속한 시대를 살아가는 어린이들이 그들에게 잊혀졌던 정서를 조금이나마 보상 받게 되는 것이다. 방철린記
대지는 파주출판도시의 중심부 대로를 따라 나란히 흐르는 개천 동쪽 건너편에 면해 있다. 출판도시의 정신인 ‘공동성의 실현'이 다른 프로젝트와 함께 실천되어야 하는 가운데 대로에서 직각방향으로 트여진 시선이 개천을 건너고 이 부지를 지나 심학산 쪽에 이르도록 설정된 마스터플랜의 원칙에 따라 건축물의 배치를 결정하고 건축물 전체가 환경과 적절히 맞닿으면서 숨을 쉬는 환경 만들기에 주력하였다. 가급적 많은 썬큰 가든을 두어 지하의 좋은 환경 조성을 꾀하였고, 개천 변으로는 직원들이나 방문객들이 쉽게 접근하고 개천의 자연과 호흡을 같이할 수 있는 파고라를 설치하여 강 건너에서도 북이십일의 인식성을 높일 수 있도록 했다. 1층 전시장을 포함하는 지상부분은 한 건축물 안에서 생활하는 가족은 물론 이 곳을 찾는 방문자로 하여금 회사에 대한 친밀성을 높이고 서로의 가족적 친근감을 높일 수 있도록 공간을 구성했다. 좁고 긴 복도는 브릿지로 분절되어 지루함 대신 인간적 교류를 이끌고 천창을 통한 빛은 건물 전체를 밝게 하여 일하는 사람에게 즐거움을 준다. 방철린 記
Architectural Information of Gyoyook Gwahak Sa HQ bldg.
client : Gyoyook Gwahak Sa 교육과학사 Architect : Chul-rin Bang 방 철린 Architectural firm : Architect group CAAN 건축그룹칸 종합건축사사무소(주)
Location : 514-5 Munbal-ri, Gyohwa-ub Pajoo-si Use : office Site area : 1,023.80㎡ Bldg. area : 371.77㎡ Gross floor area : 1,070.91㎡ Bldg. coverage ratio : 36.31% Gross floor ratio : 104.60% Bldg. story : 4 stories above ground Exterior finishing : exposed concrete + curtain wall Interior finishing : exposed concrete + vinyl paint on gypsum board Interior : Architect group CAAN Structural team : ALT Structure Engineering team : Kihan Engineering Electrical team : Dongho Engineering Construction team : Samwoo CNC Supervision : Architect group CAAN Design period : December. 2003- March. 2004 Construction period : March. 2005- November. 2005
Design note of Kyoyook-Gwahak Sa HQ bldg.
The site is located in Paju Book City. At the west outskirt of this book city, there runs Tong-il highway parallel with the bounds of the city. And beyond the high way, lower Han-river flows from south to north. The site could excluded noise from the high way owing to two layers of two story printing houses arranged along by west bounds of this city.
Kyoyook-Gwahak Sa HQ building was designed in the spirit of realizing the communality - objective theme of master plan of Paju Book City. In planning of building, master plan wants the concept of two parallel masses and something transparent between them. The exhibition room and storage space was set on the 1st floor. Two wings and inner court that filled with water was plotted. The view of the sunset on the 4th floor to the lower Han-river is very fine . So it was required to set the place for the sight, but it must be transparent to see through from the east side of the site . So let the clear and transparent another architectural layer crosses between two wings.
중앙입시교육연구원 사옥의 부지는 파주 출판도시 영역의 중앙부분, 12섹터 내에 위치한다. 이 부지 동측으로는 10미터 도로가 면해있고, 서측으로는 10미터 높이의 절벽과 같은 인쇄공장 부지가 접해있다. 남과 북 2면은 모두 15미터까지 건축이 계획된 타 출판사 대지에 접해 있는데 이 사옥을 계회을 할 당시 두 곳 모두 빈 터로 되어 있었다. 장차 견축계획은 4층이지만 우선 2층만 완성하고 차후에 2개층을 증축하겠다는 생각을 작업에 반영하였다. 2층으로 지을 경우 이 건축물이 주위의 다른 건축물에 비하여 규모가 작기 때문에 대신 공간의 풍부함과 함께 단순하면서도 무게감 있는 형태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도로에 면할 전시장과 1층 창고부분은 마당을 사이에 두고 배치하여 외부공간의 여유를 확보하도록 하였으며, 이 두 동 사이에 브릿지와 계단을 두어 수직 수평의 연결을 꾀하였고 이런 공간적 처리방법은 꾸밈없이 그대로 외부공간의 연출요소로 작용하도록 하였다. 집의 이미지는 단순하면서도 강한 인상을 심어 줄 수 있도록 하기위해 벽체는 송판 널의 결을 살린 노출콘크리트로 유리는 무색 투명유리로 계획하여 형태적 질감적 대비를 이루도록 하였다. 방철린 기
강원도 산악지대의 한 가운데- 치악산 남서쪽으로 백운산의 준수한 봉우리들이 각기 자기의 위풍당당함을 뽐내는 산 속 깊은 곳에 원주제일교회 수련원의 부지가 자리하고 있다. 더없이 맑고 깨끗한 공기와 울창한 숲으로 둘러싸인 이 곳은 그러나 원주 도심에서 자동차로 약 20분 거리 정도 밖에 떨어지지 않은 곳이라 도시에서의 접근도 상당히 쉬운 편이어서 도심에서의 일탈과 접근의 용이성이라는 양면성을 함께 지니고 있다. 산이 높아 숲 속의 시원함은 두 말 할 나위도 없거니와 계곡이 깊어 계절없이 언제나 귓가에 구르는 계곡의 물소리는 티 없이 맑은 푸른 하늘과 함께 여기를 찾는 신도들에게 현대 도시생활에서 찌들고 막힌 숨통을 트이게 할 수 있는 매력으로 부각되기에 충분한 조건이라 생각된다.
이 곳을 처음 찾았을 때 이미 형질변경을 위하여 많은 자연이 훼손되어 있음에 당황하였다. 많은 건축주들이 그렇게 하듯이 이 곳도 건축가를 찾기 전에 땅을 건드려 정지작업을 해 놓았는데 부지를 평평하게 하는 것이 집을 짓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생각에 너무나 많은 자연이 필요없이 훼손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자연환경을 해치지 않고도 얼마든지 원하는 좋은 집을 지을 수 있고 또 그렇게 지어진 집이 자연과 더 어울릴 수 있는 집이 될 수 있으련만…. 그래서 될 수 있으면 이 수련원이 친환경적인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배치계획에도 많은 시간을 할애하였다. 이 곳을 지나는 산중도로와 외부에서 될 수 있으면 이 집이 많이 노출되어 보이지 않도록 건축물의 위치와 높이조절을 꾀하였으며 자연과 인간을 최대한 배려하는 집이 될 수 있길 기대하며 계획을 진행하였다.
교회의 수련원은 도심의 교회와는 달라 신에게 귀의하는 순수한 종교적 공간 외에도 수련과정이라는 일정기간동안 단체생활 속에서의 연수형식을 통하여 종교적 교리의 이해는 물론 신도간의 친목과 사회성의 제고를 위한 공간이 준비되어야 하는 것이 일반적인 프로그램 내용이다. 그러나 단기간이긴 하나 단체생활 속에서의 며칠 간의 수련생활은 수련과정의 다양함이나 정규시간 외의 생활 속에서 얻어지는 사회성을 고려한다면 교회에서 준비한 스페이스 프로그램상의 실내공간 외에도 다양한 건축적 외부공간을 필요로 한다. 또한 종교시설의 특성상 예견치 못한 방문객수의 일시적 증가와 신도수의 급격한 증가에 따른 충분한 적응 가능성을 고려한다면 내부 공간과의 밀접한 관계를 맺는 신축성있는 외부공간의 구성이 필연이라 여겼다.
이 곳 수련원의 공간구성은 크게 네 부분으로 나뉘어져 계획되었다. 예배와 세미나를 담당하는 예배부, 친목과 식사를 담당하는 식당, 그리고 침실부분과 관리부분이 그것이다. 이 네 개의 공간들을 효과적으로 엮기 위하여 이 수련원의 주(主) 스파인이라 할 긴 코리더를 설정하였다. 그리고 이 코리더를 중심으로 기능들이 적제 적소에 자기위치를 갖게 함으로써 상호간의 공간적 위계와 질서를 갖게 한다. 두 번째의 개념설정은 중정의 개념을 가진 마당이다. 이 마당은 긴 코리더와 식당부분, 그리고 필로티로 띄워진 침실부로 요위(腰圍)되어 각 부분에서 이 공간을 통하여 다른 공간에서 일어나고 있는 행위를 감지할 수 있다. 이용면에 있어서 이 장소는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또는 실내 각 부분의 연장선상에서 내부공간 확장의 개념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대성전을 비롯하여 건축물의 내부의 모든 공간은 자연채광으로 충분히 그 분위기를 가질 수 있도록 창의 형태와 크기를 고려하였으며, 전망 즉 자연에 대한 열림도 절제 속에 다양함을 누릴 수 있도록 창의 위치와 형태를 결정하였다. 이 집에 사용되는 건축재료는 될 수 있으면 집의 구조체로 사용된 콘크리트를 그대로 노출시켜 자연미를 갖게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고 음향이나 단열상 꼭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 간단하게 석고보드나 합판으로 마감하여 콘크리트와의 텍스츄어적 대비를 꾀하였다.
이 집의 부지는 강화도 민통선 검문소를 지나 양오리란 작은 마을에 있다. 풍수지리로 볼 때 이 부지는 명당자리여서 부지에 서 있노라면 심리적 안정감을 갖게 한다. 이 곳에 거주할 건축주인 김교수 부부의 마음가짐과 정신은 전원생활을 할 덕목을 갖추고 있었다. 채소, 화초, 나무를 좋아하고 마을의 일원이 되려는 노력이 역력하며 이 부근 선배교수와도 친분이 두터워 나로 하여금 그렇게 믿도록 하였다. 새로 지어질 집의 개념들을 생각해 보았다. 가정 중심공간구축, 땅이 갖고 있는 에너지가 전제된 공간배치, 실내공간과 외부공간과의 필연적 관계형성, 「채」개념의 현대적 적응 - 이러한 내용들이 이 집을 설계하면서 생각한 개념의 틀이다. 이 곳 양오리의 주택은 한국적 공간구성의 필연적 원리들을 중시하는 계획으로 구성하였다. 중심부에 마당을 놓고 주변의 켜에 건축주가 이야기하는 프로그램을 실로 배치하고 실들의 바깥켜에 대한 땅과 실내공간의 긴밀한 관계를 갖도록 구성하였다. 건축주의 마음가짐을 볼 때, 이 곳에 누(樓)를 설치하는 것이 필연적 요소로 생각하였다. 또한 안방과 누를 1개의 축선상에 배치하는 방법도 시도하였다. 안방의 위치를 예전과 같이 폐쇄적인 위치에서 벗어나 오히려 집의 중심적 축선상에 위치시켜 이 방의 주인이 곧 이 집의 주인임을 암시케 함은 물론 누를 통한 전면의 경치를 확보하기 위해서다. 건축의 내외부공간 만들기는 나의 의지에 의한다기보다 무위(無爲)의 개념으로 사람·자연·건축의 관계를 충실하게 맺어주는 것이 이상적인 방법이라 생각한다. 그래야만 건축이 저절로 그렇게 된 것 같은 자연스러움과 원래 거기 있었던 것 같은 조화로움, 그리고 해학이 가득한 지혜로움을 간직할 수 있다고 믿는다. 이 집에 있는 누의 이름을 미제루(未濟樓)라 하였다. 이는 64괘 이름에서 따왔다. 마지막 괘 이름인 「미제」, 그 바로 앞 괘인 63번째가 기제(旣濟)임에 반하여 이 세상의 삼라만상은 늘 바뀌고 순환하는 속성을 가지고 있음을 뜻하는 것이다. 이 곳에서 닦아지는 김교수의 학문과 다져지는 우정도 이 누의 이름이 의미하듯 늘 닦여져서 깊어지고 새로워질 수 있길 기대한다.
1999韓國建築家協會作品賞受賞 / Win the 1999 Architectural Prize of KIA
하늘마당 Ⅱ 설계소묘
하늘마당Ⅱ는 갑자기 찾아온 건축주에 의해 설계의뢰 되었다. 오래전부터 나의 작품에 관심을 가지고 지켜봐 왔다는 건축주는 나의 사무실로 찾아와서 자신의 가족이 함께 단란하게 살 주택과 임대를 위한 다가구주택이 건축물의 용도라는 것, 거실옆에 서재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 그리고 이것 이외의 모든설계는 나에게 맡기겠노라는 것 등을 주문하였다.
강남의 주거지역이 모두 그러하듯 이곳 잠실도 개발당시 지어졌던 주택들이 헐려나가고 개발후 제2기 건축이라할 다가구주택들이 들어서고 있는 지역인지라 대지 주변상황도 이와 조금도 다를바가 없었다. 건축주의 수지균형을 생각한 연면적과 강화된 주차장 법을 전제로 계획을 하자니까 공간의 여유를 조금도 찾을 수가 없어 결국 이곳에 사는 사람들의 커뮤니케이션은 복도와 계단에서 일어나는 것 이외에 다른 기대는 어렵다고 결론을 내렸다.
계단과 복도는 외기에 노출되도록 반외부공간으로 계획하여 한치의 여유도 없는 외부공간의 역할을 이곳이 담당토록 하였으며 이 계단과 복도가 주차장 측으로 열리도록 하여 건물군속의 폐쇄감을 다소나마 해소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계단과 복도는 층별로 변화있게 계획하여 마을의 골목길 같은 역할을 담당하게 함은 물론 식별성과 공간적 다양성을 제공 시킬것으로 기대한다. 선큰테라스는 지하층 세대에게 항상 빛과 바람이 들어오도록 도와줄 것이며 3층 원기둥이 있는 하늘마당은 계절을 느낄 수 있어서 거주하는 주인에게 정서와 여유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옥탑에 얻어지는 자유공간에는 마루를 깔아 평상같은 분위기를 만들었으며 이곳은 옥외공간이 모자라는 도시속에서 가족들이 다양한 행위의 가능성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달빛 쏟아지는 여름밤, 평상에 앉아 시원한 밤바람을 맞으며 사색에 잠길 수도 있지 않을까? 방철린 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