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와 애정행각을 벌이는 크레타의 왕비 파시파에.Gustave Moreau, Pasiphaé. Grisaille
크레타섬의 라비린토스에서 테세우스에게 공격당하는 미노타우로스.Barye, Antoine Louis
(Francia, París, 1795 - Francia, París, 1875)
단테의 신곡 지옥편에서 죄인들을 심판하는 미노타우로스(Gustave Doré 그림)
미노타우로스(Minotauros)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황소얼굴을 가진 반인반수(半人半獸) 미노타우로스는 포세이돈의 저주로 소를 사랑하게 된 크레타의 왕비 파시파에(PasiPhae)에게서 태어났다. 야생성이 강한 그는 크레타의 왕 미노스가 그를 가두기 위해 만든 미궁(迷宮) 라비린토스(Labyrinthos)에서 생활을 하였다.(본인이 크레타를 방문하였을 시 크레타에는 크노소스(Knosos)궁의 페허만 존재하였기 때문에 라비린토스가 신화로만 존재한 궁인지 크노소스궁을 칭했던 것인지 아니면 발굴이 아직 안 되었는지는 알 수가 없다.) 그리고 수많은 아테네의 소년 소녀들이 크레타에 있는 그의 먹이로 제공 되었다. 그러나 미움과 저주의 주인공이었던 미노타우로스는 미노스와 파시파에 사이의 공주 아리아드네(Ariadne)의 도움을 받은 아테네의 왕자 테세우스(Theseus)에게 결국 죽임을 당하고 만다.
1321년 완성된 단테의 신곡(La Divina Comedia Di Dante Alighieri) 지옥 편에서는 아이러니하게도 이 미노타우로스가 지옥에 떨어진 사자(死者)들의 자리를 정하는 심판관으로 등장한다. 애욕에 빠진 클레오파트라, 아킬레우스, 헬레네, 탐욕의 신 플루톤, 분노의 메듀사, 이단으로 취급당한 이슬람교의 무함마드,예수의 배신자 유다,카이사르의 배신자 브루투스 그리고 루시퍼에 이르기까지 모두 미노타우로스의 심판에 의해 지옥의 자리와 벌의 종류가 정해진다.
단테는 신곡 지옥 편에서 그리스도 이전이든 이후든 역사 속의 명망있는 학자와 철학가 그리고 그리스 신화 인물들이 죄가 없음에도 세례를 받지 않았다는 이유로 천국에 가지 못하고 지옥의 맨 위층인 림보에서 머무는 것으로 그렸고 죄를 지은 자들은 미노타우로스의 심판으로 지옥의 지정된 층에서 벌을 받는 것으로 그리고 있는 것이다. 림보에 머무는 자들은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소크라테스,헥토르,카이사르 등 역사 속 주인공으로 거론 되어온 자들이 대부분이었다.
요즈음 한국 정치권의 내부가 많이 어지럽다. 대한민국 건국 이래 이런 정의와 상식을 외면한 정치판은 전무후무한 것 같다. 아수라라 해도 틀리지 않는 수준 같다. 지금의 정치인들을 단테의 신곡에 대입 한다면 어떤 판정으로 어느 위치에 자리를 잡게 될 지 사뭇 궁금하다.
한국건축설계학회가 주최하는 2022년 Archi-Collection 전시회에 칸 종합건축사사무소(주) 방철린 건축가가 초대되어 건축 드로잉을 전시한다. 제출한 드로잉은 제주스테이 비우다 외부 모습과 평면으로 구성되어 공간조직을 보여준다. 이 전시회의 전시장은 포스코 더 샵 갤러리(서울시 강남구 언주로 832)이며 2022년 5월 7일-27일까지 전시한다.
한국건축설계학회가 주최하는 2022년 Archi-Collection 전시회에 칸 종합건축사사무소(주) 방철린 건축가가 초대되어 건축 드로잉을 전시한다. 제출한 드로잉은 제주스테이 비우다 외부 모습과 평면으로 구성되어 공간조직을 보여준다. 이 전시회의 전시장은 포스코 더 샵 갤러리(서울시 강남구 언주로 832)이며 2022년 5월 7일-27일까지 전시한다.
지난 연말 즈음에 제천이 고향인 고교 동기의 손수 운전과 안내로 일박 이일- 제천과 담양지역을 여행하였다.
단양팔경의 하나라는 옥순봉에 오르는 것을 시작으로 비봉산도 오르고, 청풍문화재 단지, 스카이 워크, 단양강 잔도, 도담삼봉, 고수동굴 등을 섭렵하였다.
예전에 등산을 목적으로 금수산, 제비봉 그리고 정방사 등에 오르내린 적이 있었고, 충주나 조령지역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또는 이 지역을 지나가면서 주마간산 식으로 보곤 했었던 적은 있었지만 이렇게 시간 내어 속살까지 자세히 보긴 처음이었는데 매력이 넘치는 소중한 자연 유산 들의 진 면모를 실감하게 되었다.
그 중에서도 옥순봉과 옥순봉에 올라서 보는 구담봉의 자태가 일품이었으며 해질녘 .비봉산 정상에서 사방으로 펼쳐진 산들, 특히 소백산과 월악산 그리고 그 주변 산들의 중첩된 능선들의 모습이 장관을 이루어 매우 감동적이었다.
돌아 오는 길에 삼한시대에 만들어진 제천 의림지를 보고 늦은 오후 안개 로 매력 넘치는 박달재를 넘어 귀경하였는데 친구 덕에 잊을 수 없는 멋진 여행 경험을 추억으로 남기게 되었다.
한편 이렇게 좋은 자연환경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장소의 격을 이야기 할 수 있는 문화 컨텐츠가 너무 없어 문화적 삭막함이 마음을 씁쓸하게 한다. 지방자치단체의 도시계획부서와 건축부서 그리고 문화계가 활약을 좀 해야 하는데 최근 다녀본 지방관청에 가 보면 아직 문화입히기에 관심이 없는게 안타깝다. 오히려 환경단체에나 끌려다니며 아직 20세기 담도 못 넘고 있다는 인상이다.